美 국가안보국 통화기록·정보수집 전세계 대상으로 시행됐다

입력 2013-06-09 18:45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무차별적인 민간인 전화통화 기록 및 개인정보 수집 논란이 전 세계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NSA가 특별프로그램을 제작해 미국은 물론 이란과 파키스탄 등 전 세계를 상대로 정보를 수집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비밀문건을 인용해 추가 폭로했다.

정보수집을 둘러싸고 의회 내에서 찬반 논란이 가열되는 상황에서 NSA 등 정보당국은 곤혹스러워하면서 이번 보도가 실정법 위반 가능성이 있다며 보도경위를 조사하고 나섰다.

9일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NSA는 ‘바운드리스 인포먼트(Boundless Informant)’라는 데이터마이닝(방대한 정보 속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한 통화 기록 등을 분석해 유의미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이다. 가디언은 2013년 3월 말까지 NSA가 미국 내 컴퓨터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가 30억건에 달한다면서 바운드리스 인포먼트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도를 지도로 만들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가디언이 입수한 비밀문건에 따르면 NSA는 지난 3월에만 전 세계를 상대로 모두 970억건의 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집했다. 이 중 이란이 140억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파키스탄으로 135억건에 달했다. 미국의 중동 내 우방인 요르단도 127억건으로 3위에 올랐으며 이집트(76억건), 인도(63억건)가 뒤를 이었다. 바운드리스 인포먼트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도를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신문은 특히 지난 3월 민주당 소속 론 와이든 상원의원이 정보위원회 청문회에서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을 상대로 NSA가 개인정보 수집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것은 위증일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자 의회에서 논란도 커지고 있다. 공화당 대권주자인 랜드 폴 상원의원은 연방 수사기관이 개인 전화통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적절한 사유를 제시하고 영장을 받도록 의무화 하는 내용의 ‘수정헌법 4조 보존·보호법안’을 상원 법사위원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민주당 소속 다이앤 파인스타인 정보위원장 등은 오바마 행정부의 감시정책이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옹호하고 있다. DNI는 NSA가 운용하는 비밀감시 프로그램에 대한 극비정보가 언론에 유출된 경위를 조사해 달라며 ‘범죄보고서’를 법무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국가안보 대변인인 벤 로즈도 관련자에게 법적 조치를 취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