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매각 재추진… 내달중 매각 주관사 선정
입력 2013-06-09 18:37 수정 2013-06-09 22:54
정부가 4년여 만에 다시 대우조선해양을 매물로 내놓는다. 우리금융 매각 추진과 마찬가지로 공적자금을 적극적으로 회수해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 이행에 쓰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 7일 대우조선 주식 매각 주관사 선정 공고를 내고 오는 24일까지 접수를 마감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다음달 매각 주관사를 정하고 지분 매각을 위한 시기·조건을 연내 결정할 방침이다.
대우조선 매각은 2008년 11월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던 한화그룹이 대우조선 내부 반발 등으로 인수를 포기하면서 무산됐었다. 금융위는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 기한이 끝난 지난 2월 대우조선 지분 19.1% 중 17.15%(3280여만주)를 한국자산관리공사로부터 넘겨받았다.
금융위는 대우조선 주식을 주식시장 개장 전이나 폐장 후 블록딜(대량 매매)로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대우조선 지분 31.3%를 가진 산업은행이 최대주주여서 금융위가 지분을 한꺼번에 팔아도 경영권은 넘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산은 등이 보유한 지분까지 묶어 경영권을 통째로 파는 방법이 함께 논의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경영권 프리미엄이 붙으면 정부는 더 많은 공적자금을 회수할 확률이 높아진다.
STX조선이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는 등 조선업계 사정이 나쁜 상황에서 정부가 대우조선 매각을 다시 시도하는 데는 공적자금을 최대한 빨리 회수하겠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매각 주관사를 정했다고 곧바로 대우조선 지분을 팔지는 않을 것”이라며 “현재 조선업 업황이 좋지 않은 만큼 매각 시기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