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역사 왜곡 못 참아” 종편 출연자 등 10명 고소

입력 2013-06-07 18:41

5·18역사왜곡대책위원회(대책위)의 5·18 민주화운동 왜곡에 대한 법적 대응이 본격화됐다.

대책위는 7일 종편 출연과 인터넷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한 10명에 대해 명예훼손 및 사자(死者)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장을 광주지검에 제출했다.

대책위가 고소한 이들은 북한군 개입설을 방송한 채널A ‘김광현의 탕탕평평’ 출연자 3명과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 출연자 1명, 일간베스트 등 인터넷 사이트에 악성 게시물을 올린 네티즌 6명이다.

고소인은 1980년 계엄군 총에 맞아 아들(당시 24세)이 숨진 김모(76·여)씨 등 5·18 피해자 31명과 5·18유족회와 부상자회, 5·18기념재단 등 4개 단체를 포함한 당사자들로 구성됐다.

채널A와 TV조선 등 종편은 최근 ‘5·18을 전후해 남한에 남파됐다’고 주장하는 북한군 출신 탈북자를 출연시켜 “북한 특수부대원들이 광주에 파견돼 5·18이 발생했다”는 근거 없는 내용을 방송했다.

이와 관련해 채널A 보도본부장 등은 이날 오전 광주로 내려와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대책위에 공식 사과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대책위는 “지난 5일 방송통신위 심의위원회에 출석한 채널A 간부가 북한군이 오지 않은 근거가 있느냐고 강변했다”며 “진정성이 없어 사과를 받을 수 없다”고 면담을 거부했다.

대책위는 형사고소와 별도로 민사소송도 추가로 제기하기로 했다. 대책위는 전국 430여개 단체가 참여한 5·18역사왜곡저지국민행동이 법리 검토를 마치면 형사고소가 추가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책위에 참여 중인 문정현 광주지방변호사회장은 “일단 10명이지만 고소 대상자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지난달 24일 강운태 광주시장과 조호권 시의회의장, 장휘국 시교육감, 5월 단체, 시민단체, 대학 등의 대표자 334명으로 구성됐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대책위에 5·18을 악의적으로 왜곡한 1900여건의 사례 신고가 이미 접수돼 있다”며 “간첩 누명을 씌운 것도 모자라 민주화운동 당시 숨진 시민들을 ‘빨갱이’ ‘홍어’라고 비하하는 행위는 묵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