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엔·달러 환율… 먹구름 짙어지는 아베노믹스

입력 2013-06-04 19:18


일본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엔화약세 기조가 ‘약발’을 다해가고 있다는 징후가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정부는 경제특구 설치 등을 뼈대로 하는 아베노믹스 부양책을 강행키로 하는 등 요지부동이다. 한국으로서는 금융부문의 엔저 공격에 이어 외국인 투자 부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24일 만의 엔·달러 환율 100엔대 붕괴=엔·달러 환율이 3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두 자릿수로 떨어졌고, 비약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던 일본 주식시장도 급락과 반등을 거듭하며 대폭적인 조정국면에 접어들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달러화 약세(엔화 강세) 원인으로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이날 발표한 5월 제조업지수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미 경제의 ‘출구전략’이 불투명해지면서 엔화가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세계 증시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면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엔화에 매수세가 몰린 것도 환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양적완화 행보와 경제 성적표에 따라 엔·달러 환율의 변동폭과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아마리 아키라(甘利明) 일본 경제재생담당상은 4일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엔저와 주가 상승이 급격하게 진행돼 왔기 때문에 조정국면은 당연히 있다”고 밝혔다.

◇아베 정부, 경제특구로 마이웨이=아베 정권은 아베노믹스의 효과가 점점 의문시됨에도 불구하고 성장전략 제3탄의 일환으로 경제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책을 꺼내들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5일 발표될 성장전략은 소비자 편의 향상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반용 의약품의 온라인 판매금지를 해제해 규제완화의 상징으로 만들 방침이다. 국내외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지역을 한정해 규제를 줄이는 ‘국가전략특구’ 추진과 건강식품 표시에 관한 규제완화, 민간자금을 활용한 사회간접자본 구축(PFI) 확대도 성장전략에 포함된다.

아베 정권은 특구 활성화를 위해 지역 거점공항 국제 취항편 증편과 외국인들에 대한 차별화된 의료 서비스, 첨단 산업 인력에 대한 고용 유연화 등의 유인책을 내걸 계획이다.

◇아베노믹스, 선거쟁점부상···경제혼란 가중될 듯=아베노믹스가 보여준 폭발성에 비례해 불안요인도 많아지면서 경제 문제는 7월 참의원 선거에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이에다 반리(海江田万里) 민주당 대표는 3일 기자회견에서 “아베노믹스의 독(毒)은 국채가격 폭락과 장기금리 상승”이라고 지적하며 주식과 채권을 둘러싼 현재의 시장상황이 참의원 선거에서 쟁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정부의 과도한 금융완화 정책이 고용 확대와 임금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엔저로 인한 일반 국민들의 생활고를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그동안 자민당과 보조를 맞춰온 일본유신회와 다함께당도 선거를 앞두고 아베노믹스와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차별화 전략에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