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받는 ‘정무장관제 부활’… 황우여 대표 이어 최경환 대표도 필요성 역설

입력 2013-06-04 18:05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4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청와대와 국회의 원활한 관계 구축을 위한 정무장관제 부활을 제안했다(국민일보 3일자 4면 단독보도).

최 원내대표는 “여야 간 노력과 함께 청와대와 정치권의 원활한 소통도 중요하다”며 정무장관 필요성을 역설했다.

황우여 대표도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야당과의 소통을 위해 정무장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근혜정부는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정무장관 역할을 해온 특임장관제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이정현 전 청와대 정무수석(현 홍보수석)이 그 역할을 대신 해왔으나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무장관제를 부활하기 위해서는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하기 때문에 야당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에 일단 민주당도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어서 정무장관제 부활 논의가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민주당 김관영 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진정으로 (야당과) 소통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여야 간에 정무장관제 부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공석인 청와대 정무수석 인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재중 임성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