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신용정책이 대책 될 수 있다”
입력 2013-06-03 19:01
미국 등 선진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 경제석학들은 금융시장 혼란을 경고하며 각국 중앙은행의 국제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흥국은 글로벌 유동성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상황에 대비해 외환보유고를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신용정책이 선진국 출구전략의 대응수단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한은은 3일 ‘국제적 관점에서의 글로벌 유동성 평가’라는 주제로 국제콘퍼런스를 열었다. 201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사전트 뉴욕대·서울대 교수, 나오유키 시노하라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 게리 고튼 예일대 교수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사전트 교수는 글로벌 유동성 보유가 서든 스톱(sudden stop·갑작스러운 외자유입 중단) 등 유동성 위기를 막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유동성은 국제거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동적 자산”이라며 “보유한 글로벌 유동성이 환율 변동 리스크에 보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장 피에르 랑도 전 프랑스 중앙은행 부총재는 “선진국 출구 전략이 미치는 영향은 예상보다 복잡해질 수 있으며, 글로벌 유동성의 높은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대부분 중앙은행이 그동안 국내 목표만을 감안한 통화정책을 수행해 와서 국제공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총재는 개회사에서 “국가별 경제여건이 다른 상황에서 출구정책을 언제,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공조하는 게 쉽지는 않지만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책공조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김 총재는 신용정책을 새로운 정책수단으로 내세웠다. 중앙은행의 발권력을 바탕으로 특정 부문에 자금을 공급해 경기둔화, 금융시장 불안에 대처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총재는 “신용정책은 금융·실물 간 연계가 원활하지 않은 분야에서 금융 중개 실패를 완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금리에 따른 물가불안, 금융 불균형 누적을 방지해 성장잠재력을 복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