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내 꽃제비 10만명”… 朴대통령, 강제북송 탈북 청소년 정면 거론
입력 2013-06-03 18:30 수정 2013-06-03 22:15
정부가 현재 북한에 최대 10만명의 꽃제비(일정한 거주지 없이 떠도는 고아)들이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강제 북송된 탈북 청소년들의 인권을 거론하며 북한을 강하게 압박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에서 떠도는 꽃제비는 최대 10만명, 최소 7만명으로 집계됐다. 통일부는 꽃제비는 1990년대 300여만명이 아사했던 소위 ‘고난의 행군’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고아원 수용 인원 및 인구학적 분포로 따져볼 때 7만∼10만명의 꽃제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에는 탈북 고아가 1만∼2만명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 국경 단속 및 탈북자 통제 대책이 강화되면서 최근에는 5000명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꽃제비를 포함한 탈북자들의 탈북 루트에 대해선 공개될 경우 신변안전이 우려된다며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민간 탈북단체는 전체의 85%가 라오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 루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탈북 청소년 9명 북송 사건으로 탈북자들의 입국 루트 자체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북송된 탈북 청소년들의 생명과 안전이 보장되고 부당한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이라며 “만약 이들의 안위가 보장되지 않으면 북한은 국제사회의 비난과 인권에 대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번 사건을 남북 간, 한·라오스 간 외교 이슈로 좁게 볼 것이 아니라 탈북민의 인권 문제라는 세계적 이슈로 보고 국제사회, 특히 난민 관련 국제기구를 통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참모들에게 지시했다.
한편 라오스에서 추방돼 강제 북송된 탈북 청소년 9명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8㎞ 떨어진 순안초대소에 격리돼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북 매체인 자유북한방송은 ‘평양 소식통’과의 통화 내용이라며 “이들은 29일 순안초대소에 도착해 아직도 교육 중”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탈북 청소년들이 3국에서 체포돼 긴급 호송된 것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지시에 의한 것”이라며 “라오스 주재 북한 대사관이 탈북 청소년 체포 소식을 지난달 19일 김 제1위원장에게 직접 보고하자 다음날 ‘그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신병을 인도받으라’고 대사관에 지시했다”고 소개했다. 또 북송작전에는 국가안전보위부에서 파견된 요원 2명과 현지 보위부원, 대사관 직원 2명 등 총 5명이 관여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들을 교육한 뒤 탈북 방지 등을 위한 대내외 홍보에 활용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모규엽 신창호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