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자녀 정책 이후 3억명 새 생명 강제유산”

입력 2013-05-31 18:39

“중국에서 ‘한 자녀 정책’이 시행된 1980년대 이후 지금까지 세상 빛을 못 보고 사라져간 생명은 3억명에 달한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1일 심층취재 기사를 통해 이렇게 밝히면서 “이는 그야말로 악몽”이라고 지적했다. 태아 상태에서 강제 유산 등으로 생명을 잃은 사례가 이처럼 많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방 정부에서 산아제한을 담당하는 관계자들이 임신한 주부에게 유산을 강요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지난해 6월 산시성 안캉시 전핑현에서 임신 7개월 된 주부 펑젠메이를 지방 정부 관계자들이 억지로 병원으로 끌고 가 강제 유산시킨 사건은 상당한 물의를 빚었다. 펑젠메이 옆에 강제 유산된 핏덩어리 태아가 놓여진 사진이 인터넷에 올려지면서 해당 지방 관리들에게 엄청난 비난이 쏟아졌다.

유치원 교사로 올해 55세 된 허샤오잉은 20년 전 벌어진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몸서리를 친다. 그는 당시 두 번째 아이를 임신한 지 8개월 된 상태에서 이웃에 사는 지방 관리들에게 붙잡혀 병원으로 끌려갔다.

허샤오잉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그 아이는 남자라고 들었다”며 “의료진이 내 몸에서 아이를 빼낸 뒤 곧 ‘아이가 죽었다’고 했다”고 회고했다. 허샤오잉은 훗날 그 병원에서 일하는 친구들로부터 “아이는 주사를 맞고 죽었다”는 말을 들었다.

이처럼 반인권적인 사례는 수없이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강제 유산 과정에서 제대로 의료적인 처치를 받지 못해 합병증에 시달리는 주부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달에는 후베이성에서 수란관 결절 수술을 받던 주부가 의료사고로 숨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해당 지방정부는 남편에게 100만 위안(약 1억8000만원)을 지급했을 뿐이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인구 급증으로 인한 식량과 자원 부족을 막기 위해선 한 자녀 정책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무원 위생부는 1980년부터 2009년 사이에 피임 기구를 체내에 삽입한 주부만 해도 2억8600만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