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銀, 민영화 앞서 방만 경영부터 정리하라

입력 2013-05-31 18:43

우리은행이 실적을 부풀려 임직원들에게 거액의 성과급을 지급하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감사원이 그제 발표한 우리금융지주 및 자회사 경영관리실태에 대한 감사결과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2011년 직원들에게 715억원의 초과성과급을 지급했다. 목표이익을 달성했을 때 지급키로 한 성과급이지만, 비용으로 처리해야 할 대손충당금 5040억원을 적립하지 않고 이익으로 계상해 지급 요건을 맞췄다. 이뿐만 아니라 회수의 어려움 때문에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는 성과급 선지급을 자행하기도 했다.

인사도 방만했다. 우리금융지주는 2011년 2월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퇴임시켰던 전직 임원을 불과 넉 달 만에 제2금융권 계열사 대표이사로 재선임했다. 이팔성 당시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친분이 두터운 인사 등을 임원 선임 계획이 전혀 없던 자회사에 내려 보내기도 했다.

우리금융지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투입된 공적자금이 12조8000억원이나 된다. 예금보험공사가 57%의 지분을 갖고 있는 금융사로 국민이 주인이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금융지주의 총자산은 325조7000억원으로 국내 4대 금융지주회사 가운데 가장 많다. 하지만 고정이하 여신 비율이 1.77%로 가장 높고 당기순이익은 1조2800억원으로 꼴찌다. 부실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경영이 방만하다는 의미다. 감사원도 우리금융지주의 통합리스크 관리 미흡 등으로 경영 성과가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회사가 경영 개선에 진력하기보다 국민의 돈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려 실적까지 부풀린 것은 도덕적 해이의 극치다. 정권과 가까운 회장이 앉아 측근을 자회사에 내려 보내는 것은 주인인 국민을 우롱하는 행태다. 이 전 회장은 지난 13일 사의를 표명했고 후임에 이순우 우리은행장이 선임돼 민영화를 본격적으로 재추진하고 있다. 이 회장은 민영화에 앞서 방만한 경영을 정리하고 내실 있는 금융업체로 발돋움하는 일부터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