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내기골프, 총경들 잇단 비리의혹

입력 2013-05-30 02:13

최근 경찰서 지휘관급 간부들의 성추행 등 비리 의혹이 나오고 있지만 경찰 내부 감찰 원칙이 오락가락해 제 식구 감싸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9일 경찰에 따르면 경기지방경찰청 소속 A총경은 모 경찰서 재직 당시 알고 지내던 업자들과 내기 골프를 쳤다는 의혹이 제기돼 조사를 받았다. 2011년 12월부터 지난달 18일까지 경찰서장을 지낸 A총경은 지난달 19일 보직 없이 경기경찰청으로 발령이 났다. 또 여성과 부적절한 만남을 가졌다는 의혹도 있지만 경찰청은 A총경이 사의를 표하자 감찰조사를 중단했다. 경찰청은 A총경의 경우 비위 수위가 높지 않다고 보고 사직서를 수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통상 중징계에 해당하는 비위를 저지른 경찰관은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감찰을 진행하지만 경징계 대상자는 사표를 받아주고 있다.

경기청 소속 B총경도 경찰서장 재직 당시 직원들에게 막말을 하고 관사를 멋대로 바꾸는 등의 행태로 구설에 올랐으나 경찰청은 감찰 대상에 넣지 않았다. 최근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경찰청 소속 C총경 역시 아직 감찰 조사를 받지 않았다. 비위 의혹이 제기된 총경급 간부 중 현재 감찰을 받는 인물은 과거 경찰서장 재직 당시 여직원 성추행 의혹이 제기된 경기청 소속 D총경뿐이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지난달 3·20 사이버테러가 북한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에 ‘성급한 단정’이라는 경찰 내부 비판 의견이 언론에 보도되자 해당 발언자를 색출하라고 지시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경찰이 대대적으로 ‘4대 사회악’ 척결을 외치고 정부의 민감한 현안에는 입단속을 시키면서 내부 비위에 대해선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찰청 관계자는 “비리 첩보가 입수되면 엄정하게 조사해 혐의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원칙일 뿐 감찰에 미온적인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