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정상회담 해킹 쟁점될듯… 오바마 “사이버 안보 논의”
입력 2013-05-29 18:34
다음달 7일(현지시간)부터 이틀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주 란초 미라지에서 열리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첫 정상회담에서는 해킹이 주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28일 오바마 대통령을 수행해 뉴저지주 허리케인 샌디 피해 복구 현장으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미·중 정상회담에서 사이버 안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나 중국 해커들이 미국의 최첨단 무기시스템 설계 정보를 다수 빼내갔다는 워싱턴포스트(WP) 보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WP는 전날 미 국방과학위원회(DBS) 기밀 보고서를 입수해 미국 전투기와 군함, 미사일 방어(MD) 체계 등 핵심 무기시스템 설계도 20개 이상이 해킹 공격을 당했다고 전했다.
국방부에 제출된 이 보고서는 해킹 공격의 배후로 중국을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방산업계와 군 고위 관계자 대다수는 중국이 미 국방부 계약업체와 정부 기관들을 해킹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29일자 1·2면 참고).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해커들이 수년 전 호주 보안정보국(ASIO)을 해킹해 ASIO 신청사 도면 등 각종 기밀을 훔쳐간 사실이 드러나 호주 정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야당의 조지 브랜디스 의원은 29일 “이는 아주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줄리아 길라드 총리는 ABC방송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었다.
한편 중국 인민해방군 싱크탱크인 군사과학원 국방정책연구중심은 이날 발표한 ‘전략평가 2012’ 보고서에서 “미국이 아·태 중시 전략을 추진하면서 해상분쟁을 전략화하고 각국의 해상권익 쟁탈전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는 중국과 일본 간 관할권 다툼을 넘어서 일본과 미국, 중국 대륙과 대만의 관계 등이 뒤섞이면서 중·일 간 우발적 충동을 빚을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