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조 제3국까지 급파… 김정은式 탈북자 통제전략

입력 2013-05-29 18:21 수정 2013-05-29 22:28

북한이 동남아시아 라오스까지 개입해 탈북 고아 9명을 북송한 것은 김정은 체제 들어 더욱 강화된 탈북자 통제 대책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이번에는 스파이가 첩보활동 하듯 북송한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져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29일 “북한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정권을 잡은 후 체제 단속을 위해 이전보다 탈북자 차단을 더욱 엄격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 3월 북·중 국경에서 국경경비대 군인들이 돈을 받고 탈북을 방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경비대 주둔지를 바꾸는 작업을 실시했다. 특히 김 제1위원장은 2011년 말 정권을 잡은 직후 직접 ‘탈북을 뿌리뽑기 위해 총소리가 울려퍼지도록 할 것’ 등을 지시하며 탈북자를 발견하면 현장에서 총살하도록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또 한국에 정착했던 탈북자들을 재입북시켜 기자회견을 하는 등 탈북자 유인·납치 공작도 부쩍 강화하고 있다. 체제보위 기관인 국가안전보위부와 인민보안부는 체포조를 중국에 파견, 직접 중국 외 3국에까지 가서 이들을 붙잡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번 라오스 탈북 고아 사건은 김 제1위원장 체제 들어 탈북자 체포조의 활동 범위가 더 넓어지고 공작 방법도 훨씬 더 공세적으로 전환됐다는 것을 입증한다.

북송된 탈북 고아들은 일단 꽃제비 집단 수용소인 구호소에 보내질 전망이다. 다만 만 18세가 지난 탈북 청소년은 한국으로 향하다 체포됐기 때문에 정치범 수용소에 끌려갈 것으로 보인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