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5개월 앞두고 대입요강 또 바꿔

입력 2013-05-29 18:00


대입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불과 3개월, 대학수학능력시험 5개월을 앞두고 주요 대학들의 입시 요강이 변경됐다. 가뜩이나 올해 처음 시도되는 선택형 수능으로 불안해하던 수험생들에게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대학들이 제출한 올해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신청을 심의해 최근 허용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고려대 등 32개 대학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완화 또는 폐지됐으며, 한양대 등 6개 대학은 예체능계 모집단위에서 수능 A/B형 반영 방법을 변경했다.

고려대는 수시 일반전형 우선선발(자연계)에서 수학B형 1등급, 영어B형 또는 과학탐구 2개 과목 1등급 조건에서 수학B형 1등급, 영어B형 1등급 또는 과학탐구 2개 과목 등급 합을 3 이내로 완화했다. 성균관대는 일반선발에서 자연계의 경우 국어·수학·영어·과학탐구 중 상위 3개 영역의 등급 합을 6 이내에서 7 이내로 낮췄다. 우선선발에서는 등급 기준을 유지하되 일부 계열 또는 과에서 수학·영어 백분위 합을 1∼2 낮췄다.

서강대도 수시 경제·경영 일반전형에서 국어·수학·영어 백분위의 합을 288 이상에서 286으로 내렸다. 한양대 이화여대 등 다른 주요 대학들도 수능 과목별 등급 합을 1∼2등급 낮췄으며, 경운대 등 일부 대학은 전형별로 수능 최저 기준을 폐지했다.

수능 최저 기준은 수능 전 합격자가 결정되는 수시모집에서 대학들이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능 성적이다. 수시모집 원서 접수가 3개월(9월 4일) 남은 시점에서 대학들이 전형 계획을 변경한 이유는 수능 최저 기준 미달자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어려운 B형을 선택한 상위권 수험생들의 등급 저하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입시 당국과 대학들이 얼마나 안이하게 선택수능 도입을 준비해 왔는지 보여주는 예다.

대교협 관계자는 “수능 최저 기준 완화는 수험생들의 부담 완화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나 각 대학들의 기존 수능 최저 기준에 맞춰 준비해 온 수험생들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수능 최저 기준이 완화되면 논술 등 다른 전형 요소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경기도 부천의 한 고3 학부모는 “입시를 코앞에 두고 또 규칙이 바뀌었다. 입시 컨설팅을 또 받아야 한다”며 혼란스러워했다.

대교협 관계자는 “대학들이 올해 처음 시행되는 선택수능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수능 최저 기준이 지나치게 높게 돼 있어 변경이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올해 대입 전형에서는 대학 구조조정을 위한 학과 통폐합 사유 외에는 더 이상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