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노령인구 급증 ‘맞춤형 노인정책’ 시급

입력 2013-05-28 19:54


전남지역 노령인구가 급증하면서 실효성 높은 ‘맞춤형 노인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표 참조)

전남도는 28일 “만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이 20.4%로 17개 시·도 평균 11.3%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노인복지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내 노령인구는 2012년 말 현재 35만3000여명으로 전국 542만6000여명의 6.5%를 차지해 전국에서 가장 많다. 전남지역의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은 20% 이상으로 통상 14%를 기준으로 삼는 노령사회를 넘어 초노령사회에 접어든 상황이다. 배우자와 사별 또는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사는 노인들도 늘고 있다.

현재 노인복지 정책 대부분은 노령인구가 5∼10%에 머물던 1980년대와 1990년대 수준을 답습하고 있다. 1981년 제정되고 89년 개정된 노인복지법에 따라 소득보장·의료보장·주거보장·사회복지서비스 등 4개 부문의 정책들이 반복 집행돼 왔다. 이마저 2005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지방이양사업 확대정책으로 지원 주체가 상당수 지자체로 바뀌면서 더욱 소홀해지는 양상이다. 인력·예산 부족 때문이다.

전남도의 경우 노인들의 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해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헬스장·목욕장을 건립해 ‘운동→목욕→건강검진’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하지만 각종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노인성 질환과 치매환자 발생은 줄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해마다 급증하는 노령자를 위해 폐교와 빈집에 안전손잡이와 좌식 샤워시설 등을 갖춘 공동 주거공간을 만드는 등 일상생활과 밀착된 복지정책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읍·면·마을 단위별로 노령자들이 일정공간에서 공동생활을 하면서 의식주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도록 유도하자는 것이다. 영암군이 수년 전부터 혼자 사는 노인들의 공동생활을 위해 6곳에 자체적으로 건립한 ‘달뜨는 집’의 경우 각급 기관·주민들의 잇따른 기부와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노인복지를 총괄할 ‘노인복지재단’을 올해 안에 설립할 것”이라며 “재단을 통해 노인복지 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