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협동조합 4년내 100개 세운다

입력 2013-05-27 18:17

정부가 미취업 과학기술인과 출산·육아로 경력 단절된 여성 과기인의 경제활동 진출을 돕기 위해 협동조합 설립을 지원하고 나섰다. 과학기술 분야 종사자가 참여하는 전문직 협동조합이 국내에 설립되는 것은 처음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안에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10곳을 육성키로 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를 ‘과학기술인협동조합지원센터’로 지정해 27일 개소식을 가졌다.

과학기술인 협동조합은 이공계 전공자면 석·박사는 물론 학사 출신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각각 1만원을 내고 5인 이상 모이면 협동조합 구성이 가능하다. 조합은 조사·분석, 장비운영, 기술사업화, 과학강연, 과학교재 개발 등 분야에서 새 일자리를 발굴하고 다양한 창업활동을 벌이게 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고령 과기인이나 여성 과기인들에게 맞도록 파트타임이나 풀타임제 모두 가능하며 재택근무도 할 수 있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상근 직원이 아니어도 조합원 형태로 참여 시 인건비 등 경상경비에 대한 부담이 없어 미취업 과기인도 참여할 수 있다.

미래부는 우선 경력단절 여성 과기인을 중심으로 올해 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0개 협동조합을 시범 운영하고 2017년까지 최소 100개 협동조합을 상시 운영할 계획이다.

미래부 정병선 과기인재정책과장은 “군산대 연구개발협동조합과 중·고교 과학강사협동조합 등 두 가지 형태의 협동조합 설립이 7월 중에 가시화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미취업 과기인은 2011년 현재 약 62만명에 달하며 그 가운데 경력단절 여성 과기인 중 학사 이상 소지자는 13만명에 이른다. 미래부 관계자는 “전문직 협동조합이 아직 초기 단계인 점을 고려해 과기인 협동조합에 대한 홍보·교육, 운영 컨설팅 등 지원에 집중할 것”라고 말했다. 대학생 창업 동아리도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 가능하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