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檢 이재현 회장 수사’ 사전 인지 놓고 해석 분분
입력 2013-05-27 17:58 수정 2013-05-28 00:21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방미 경제사절단에 포함되는 것을 청와대가 반대했다는 주장을 놓고 정부와 재계 입장은 크게 엇갈린다. 청와대와 검찰은 이를 극구 부인하고 있지만 재계는 청와대 사전 인지설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재계 관계자는 27일 “재계에서 경제사절단 명단에 이 회장을 포함시켰더니 청와대에서 이재현 회장 이름에만 ‘엑스표’를 쳐서 내려 보냈다”면서 “이 같은 상황을 보면 최근 전방위로 진행되는 고강도 경제 사정(司正)도 최소한 청와대가 모를 리 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5월 5∼10일) 이틀 전인 지난 3일 52명의 경제사절단 명단을 발표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등이 포함돼 한국 경제계 인사가 총망라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재계 14위 그룹인 CJ를 이끄는 이 회장은 명단에서 빠졌다. 재계 순위가 CJ보다 떨어지는 구자열 LS그룹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이해욱 대림그룹 부회장 등은 경제사절단에 포함됐다.
일부 기업인들은 청와대가 경제사절단으로 동행시키는 것이 부담스러워 제외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룹 오너가 실형을 선고받은 SK그룹과 한화그룹은 전문경영인을 파견했다.
박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경제사절단 구성과 관련해 청와대와 재계가 본격 협의를 시작한 것은 지난 4월이다. 그리고 이 회장 불가 방침이 내려온 것으로 알려진 시점은 같은 달 중순이다.
재계 주장을 종합해보면 최소한 검찰의 전격적인 CJ 압수수색(21일) 한 달 전 청와대가 이 사실을 인지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청와대 사전 인지설을 놓고 해석은 엇갈린다.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가 할 일을 제대로 했다”면서 “방미 과정에서 열렸던 기업인 조찬 등에서 박 대통령과 이 회장이 만났다면 또 다른 의혹이 불거져 나오지 않았겠느냐”고 강조했다.
그러나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한쪽으로는 기업의 투자를 촉구하고 한쪽으로는 검찰과 국세청을 동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CJ그룹은 극도로 말을 아꼈다. CJ 관계자는 “이 회장의 외삼촌이며 CJ그룹 공동회장이기도 한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경제단체 대표 자격으로 사절단에 포함돼 있었다”는 입장만 전해왔다. 손 회장이 방미에 동행한 만큼 이 회장이 경제사절단 포함 여부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