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靑, 방미 때 이재현 제외 요구”

입력 2013-05-27 17:56 수정 2013-05-28 00:13

재계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경제사절단에 이재현 CJ그룹 회장을 포함시킬 것을 원했으나 청와대가 반대해 이 회장이 경제사절단에 합류하지 못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검찰의 CJ그룹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청와대가 이를 인지하고 이 회장을 방미 경제사절단에서 제외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27일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5월 5∼10일)를 앞두고 경제사절단 구성과 관련해 지난 4월부터 청와대와 본격적인 협의를 진행했다”면서 “실무논의 과정에서 재계는 경제사절단에 이 회장을 포함시키는 안을 제출했으나 갑자기 청와대에서 ‘이 회장은 안 된다’는 연락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청와대가 너무 완강하게 이 회장 불가 방침을 알려왔다”면서 “이에 따라 삼성가 유산상속을 놓고 갈등을 벌였던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경제사절단에 포함돼 있어 청와대가 이를 고려해 이재현 회장을 뺀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그런데 이후 전개과정을 살펴보니 청와대가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것을 알고 이 회장을 미국 순방에 동행시키는 것이 부담스러워 경제사절단에서 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사절단을 꾸리면서 재계 순위가 CJ보다 떨어지는 기업의 오너들이 경제사절단에 포함됐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경제사절단 구성과 관련해서 청와대는 큰 방향만 결정하고 개별 경제인의 포함 여부는 전혀 상관하지 않았다”면서 “경제사절단 명단은 전적으로 재계가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경제사절단을 구성할 때 검찰 수사를 인지했다거나 그런 일은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검찰 관계자도 “수사 내용이 사전에 청와대에 보고되는 일은 절대로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윤대진)는 지난 2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하고 최근 10년 동안 CJ㈜와 CJ제일제당 유·무상 증자에 참여했거나 배당금, 신주 인수권 등을 받은 외국인 주주명부 등 자료를 제출받았다.

검찰은 두 회사의 2004년 3∼4월 외국인 주주들의 매매패턴도 분석 중이다. CJ㈜는 2004년 4월 중국 정저우, 구이양에 사료법인 2곳, 랴오청에 라이신 법인 1곳을 신규 설립하는 등 활발한 해외 활동을 벌였고 CJ인터넷(구 플래너스)도 인수했다. 외국인들은 그해 3월 CJ㈜ 주식 67만350주를 순매수했다. CJ㈜ 주식을 단기간 대량 매매해 차익을 남긴 해외 자산운용사 T사도 2007년 3∼4월 41만3000여주의 주식을 사들였다. 관련기사 14면



하윤해 전웅빈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