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4서 풀린 돈 금융위기 이후 2.6배나 늘어

입력 2013-05-26 19:02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영국, 일본, 유로존 등 주요 4개국(G4)에서 풀린 돈의 규모가 2.6배로 불어났다. 선진국들이 이런 유동성 과잉을 해소하려고 돈을 거둬들일 경우 한국 등 신흥국 금융시장은 대규모 자금 이탈에 따른 충격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26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집계한 G4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글로벌 유동성 규모는 4개국 중앙은행 자산 기준으로 2007년 1월 3조5000억 달러에서 지난달 9조1000억 달러로 늘었다. 정확한 지표가 없는 글로벌 유동성 규모는 통상 주요국 중앙은행 총자산이나 총통화량, 세계외환보유액과 미국 본원통화의 합계 등으로 추산한다. 기준별로 규모가 달라도 흐름은 대개 일치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총자산은 2007년 1월 8700억 달러에서 지난 4월 3조3200억 달러로 6년여 만에 약 3.8배가 됐다. 유럽중앙은행(ECB)은 같은 기간 1조4900억 달러에서 2.3배 수준인 3조4000억 달러로 불어났다. 일본은행(BOJ) 총자산은 9500억 달러에서 1조7870억 달러로 87.8% 증가했다. 영국 중앙은행(BOE)은 1530억 달러에서 6180억 달러로 4배 이상이 됐다.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늘린 유동성은 자국 실물경제보다는 특히 아시아 국가의 주식·채권·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돼 ‘거품’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는 올 1분기 14개 도시 기준 주택가격지수가 2007년 1분기보다 29%나 뛰었다. 올해 3월 태국의 주택가격지수는 2008년 3월과 비교해 22.7% 올랐다. 또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의 주가지수는 2009년 초부터 급등해 현재는 2008년 말 저점 대비 4배 이상 상승했다.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핫머니(투기자금)가 대거 유입된 국가는 향후 선진국의 자금 회수에 따른 금융위기를 걱정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이 긴축정책으로 전환을 암시한 발언 직후 주가 폭락 사태를 맞은 지난 23일 일본의 사례가 단적인 예로 꼽힌다. 미국 등 선진국의 출구전략이 다른 나라에는 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2007∼2012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아시아 신흥국지수에 포함되는 7개국 중 한국의 자본수지 변동성은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