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대화국면 주도권 강화 움직임… 이미 손상된 관계 회복은 힘들 듯
입력 2013-05-26 18:29
중국 정부는 최룡해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의 방중을 계기로 마련된 대화 국면에서 주도권을 쥐고 역할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을 계기로 소원할 대로 소원해진 북·중 관계가 쉽게 회복될지는 미지수다.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25일 사설을 통해 북한이 6자회담 등 적극적인 대화의사를 표명한 만큼 한국, 미국, 일본도 북한의 이런 태도변화에 호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사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최 총정치국장의 면담 이후 중국 관영매체의 첫 반응으로 중국 정부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회담 전까지 계속해서 ‘한반도 비핵화’로 북한을 압박했던 논평들과는 대조된다.
환구시보는 특히 “비록 북한이 그동안 도발과 대화를 반복해 왔지만 세계는 북한의 이번 태도변화가 지속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면서 “각 당사자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테이블에 마주 앉아 대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중국이 북한문제와 북핵 문제를 분리하고 ‘선 대화, 후 비핵화’라는 입장을 정리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렇다고 북한이 핵보유 의지를 접지 않는 한 북·중 관계가 과거 수준으로 회복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주펑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최 총정치국장의 방중으로 중국이 그동안 줄였던 식량 등 인도적 지원을 늘릴 수는 있지만 북·중 간 손상된 관계를 회복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교수는 “이번 방중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북한 방문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한 뒤 “하지만 북한의 비핵화 없이는 중국이 김정은의 방중도 환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