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의 ‘대화 손짓’… 6·15 행사 공동 개최 제안
입력 2013-05-23 18:47
북한이 다음 달 15일 13주년을 맞는 6·15 공동선언 행사를 개성이나 금강산에서 남북이 함께 개최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23일 확인됐다. 북한이 당국 간 대화는 거부하면서도 민간 차원의 대화는 이어가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남측위)는 보도자료에서 “6·15 공동선언 실천 북측위원회(북측위)로부터 22일 6·15 공동선언 발표 13돌 민족공동 통일행사를 개성 또는 금강산에서 진행하자는 제의를 팩스를 통해 받았다”며 팩스 원본을 공개했다.
북측위는 남측위에 보낸 팩스에서 “북남관계를 원상회복하고 자주통일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나가는 유일한 출로는 공동선언 이행에 있다”며 공동행사를 제안했다. 정현곤 남측위 공동집행위원장은 “북한이 개성을 행사 장소 가운데 하나로 제안한 것은 개성공단을 살리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북측위가 매년 6·15 공동행사를 열자고 제의했지만 행사 장소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또 행사가 이뤄지려면 단절된 군·판문점 통신선을 회복해야 하는 만큼 정부가 이를 승인할 경우 남북 당국 간 접촉도 자연스럽게 가능할 것으로 남측위는 내다봤다.
이에 대해 정부는 신중한 반응이다. 북한이 민간 차원에서의 대화 의지를 밝혔지만, 또 다른 ‘남남(南南)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동안 6·15 공동행사는 정치적인 성격이 강했다”며 “현재의 남북관계 상황에서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검토해 정부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6·15 공동행사는 2008년 금강산에서 마지막으로 열렸고 이후 금강산 관광객 피살과 천안함 폭침 사건 등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날로 예정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방북은 또다시 무산됐다. 입주기업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대회’를 열고 남북 당국에 30일 개성공단 방문을 허용해 줄 것을 재차 요구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