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비자금 수사] 전광석화 족집게 수사 내부 고발자 있나
입력 2013-05-23 18:23 수정 2013-05-23 22:31
CJ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전광석화처럼 진행되면서 내부 제보자의 조력이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지난 21일 CJ그룹 본사와 이재현 회장 집무실이 있는 CJ 경영연구소, CJ 인재원 등을 정밀 압수수색했다. 그 직전 이 회장의 차명 재산 관리인들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도 내려졌다. 수사 전개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장소와 인물을 ‘족집게’처럼 치고 들어간 것이다. 정확한 사전 정보와 현장 파악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검찰은 압수수색 때 재무팀과 위층의 이 회장 집무실을 바로 연결하는 전용 계단을 이용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특수수사 경험이 많은 변호사는 23일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식의 수사는 내부 제보 없이는 힘들다”고 말했다. 한 사정 당국 관계자는 “CJ에서 중요 역할을 하다 관계가 틀어진 인물의 협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에 수사팀은 “단서나 첩보와 관련된 문제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했다. 검찰 내부에서는 ‘돌진하되 실수는 하지 않는’ 윤대진 특수2부장 특유의 수사 스타일이라는 평도 나온다.
CJ 수사가 2006년 현대자동차 비자금 수사와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시각도 많다. 당시 수사도 ‘딥스로트(내부 고발자)’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휴일이던 2006년 3월 26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 본사, 원효로 글로비스 사옥 등을 급습했다. 검찰은 글로비스 사장실 한 쪽 벽면을 열고 그 뒤에 숨겨져 있던 비밀금고를 찾아냈다. 금고 속에서 60억원 돈뭉치가 나오면서 현대차로서는 백기를 들 수밖에 없었다. 검찰은 내사 단계부터 현대차 출신 제보자로부터 비자금 조성 경위는 물론 비밀금고 위치 등 상세한 정보를 입수한 상태였다. 검찰은 이후 현대차 회장 소환과 구속영장 청구까지 한 달 만에 처리했다. 이번 수사 역시 이 회장을 곧바로 겨냥하고 들어가 속전속결로 마무리될 수 있다. 현대차 수사 때의 중수부 수사기획관은 현 채동욱 검찰총장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