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에 미안”… 아베, 사과 발언 했었다
입력 2013-05-23 18:01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기 집권 당시 위안부 관련 ‘사과성’ 언급을 미국 측에 직접 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3일 아베 총리가 2007년 4월 미·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스가 장관은 “정상회담 전날 미 의회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이런 취지의 발언이 나왔으며, 부시 대통령에게 회동 내용을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교도통신은 당시 아베가 부시에게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으로 가득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최근의 이중적인 태도를 고려해 볼 때 진정성이 결여된 정략적 언급이었다는 반론이 거세다. 특히 당시 아베는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위안부에 ‘연민의 정’을 느낀다. 일본 총리로서 사과한다”고 밝혔지만 사죄 대상이 미국이라는 점도 한국을 비롯한 피해 당사국들에는 불쾌한 부분이다.
일본의 잘못된 과거사 인식은 유엔의 문제제기에 대한 정부 공식반응에서도 드러났다. 유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위원회(CESCR)와 유엔 고문방지위원회(CAT)의 위안부 문제제기에 대해 일본 정부는 성명을 내고 “과거 70년 전 태평양전쟁 당시 발생한 위안부 문제가 유엔 위원회의 심의 대상으로는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위안부 망언에 일본 내 비난 여론도 확산되고 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위안부 망언으로 도마에 오른 일본유신회의 마쓰모토 가즈미(松本和巳) 전 의원은 22일 참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블로그에 “(군대 위안부가) 남성의 욕망 분출구로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는 사고방식에 어이가 없다”는 글을 올렸다.
아시아여성자료센터 등 여성인권 활동가들이 22일 도쿄 참의원 의원회관에서 망언에 항의하는 집회를 여는 등 일본 내 여성계의 반발도 고조되고 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