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찰’ 美 언론 분노 도미노
입력 2013-05-23 18:02
미국 법무부가 AP통신에 이어 폭스뉴스 기자까지 ‘언론 사찰(surveillance)’에 가깝게 조사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 언론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진보 신문으로 친오바마 논조가 뚜렷한 뉴욕타임스(NYT)까지 오바마 행정부의 대언론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NYT는 22일(현지시간)자 ‘등골이 서늘한 또 다른 정보 유출 조사’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오바마 행정부가 언론에 대한 정보 유출을 조사하면서 이를 보도한 폭스뉴스 TV기자를 잠재적인 ‘범법행위 공모자’로 지칭한 것은 정부 비밀을 지키겠다는 데서 벗어나 언론자유의 근본을 위협한 것이라고 맹공했다.
NYT는 오바마 행정부 관리들이 자주 기밀보호와 언론자유 사이의 균형을 강조해 왔지만 기자를 ‘범법행위 공모자’로 부른 것은 이들이 비밀과 자유언론에 대한 두려움에 얼마나 경도돼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요커 등 다른 주류 언론매체들의 비판도 매섭기 그지없다. WP 칼럼니스트 다나 밀리방크는 이날 “로젠 기자에 대한 조사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에 자행된 시민적 자유에 대한 공격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으며, 비판자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기술을 사용한 방식은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나 생각해 낼 법하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언론자유 보장을 위한 비영리단체인 ‘언론인 보호 위원회(CPJ)’도 ‘미국의 언론자유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는 요지의 편지를 에릭 홀더 법무장관에게 보냈다.
오바마의 ‘입’인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에 대한 기자들의 불만도 고조되고 있다. 한 백악관 출입기자는 “민감한 질문에 딴소리로 일관하는 카니 대변인에 대한 (기자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달했다”고 말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더글러스 브링클리 라이스대학 교수는 “(백악관 참모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통령에게 장애물이 돼선 안 된다는 것이며 많은 당국자들은 더 이상 대통령에게 도움이 안 된다고 느낄 때 그만뒀다”면서 “카니는 지금 그런 수준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