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생활권도로 30㎞로 제한하고 보행자와 자전거 우선…'서울 교통비전 2030' 발표
입력 2013-05-23 17:42
[쿠키 사회] 서울의 보도면적이 2030년까지 지금의 배로 늘어나고, 보행전용공간이 시내 곳곳으로 확대된다. 또 도심을 오가는 급행 간선철도 축이 구축되고, 시내 어디에서나 손쉽게 공공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23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시 교통분야 장기 구상인 ‘서울 교통비전 2030’을 발표했다.
시는 보행자와 자전거가 우선인 교통환경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현재 1013만㎡인 시내 보도면적을 2030년까지 배로 늘리고 세종로를 비롯한 시내 곳곳에 보행전용공간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폭 13m 미만 시내 모든 생활권도로의 제한속도를 시속 30㎞ 이내로 한다는 방침이다.
또 공공자전거 운영을 확대하고, 곳곳에 자전거길과 자전거 친화타운 등을 조성해 자전거 이용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 도시철도 노선을 중심으로 급행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심을 잇는 철도망을 구축해 어디서나 10분 이내에 지하철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도 구축한다.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KTX 노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을 활용해 한양도성(기존 도심), 강남, 여의도 등 3개 도심을 급행으로 연결하는 도심 간 간선철도 축을 조성할 계획이다.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해 현재 전체의 27% 수준인 저상버스는 모든 시내버스로 확대된다.
시는 또 자동차를 빌려 탈 수 있는 카셰어링 서비스 지점을 현재 292곳에서 1200곳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동한 거리만큼 통행요금을 부과하는 주행거리 기반의 혼잡요금제 도입, 도심에 주차장이 없는 대형시설물 도입 등을 통해 자동차 이용을 억제하는 정책도 추진한다.
시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시내 승용차 통행량과 대중교통 평균 통근시간을 각각 30%씩 줄이고, 녹색교통수단 이용면적 비율은 30%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핵심가치를 ‘사람·공유·환경’에 둔 이번 교통비전이 마무리되는 2030년 서울은 승용차가 없이도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