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진주의료원 해산 본회의 상정·6월 처리 결론
입력 2013-05-23 17:21
진주의료원 사태가 한 달 간의 폐업 유보기한인 22일 넘기면서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경남도가 추진해온 폐업이 이달 중 결정되면 다음 달 도의회 임시회에서 의료원 해산 조례 처리 여부도 함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의회는 23일 오후 진주의료원 해산을 명시한 조례개정안을 임시회 본회의에 상정한 뒤 심의·처리를 6월 임시회에서 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진통 끝에 한 차례 정회 후 도의회는 임경숙 문화복지위원장의 심사보고만 듣고 심의와 처리는 다음 달로 넘기기로 했다.
조례 개정안은 경남도가 설립하는 지방의료원 가운데 마산의료원만 두고 진주의료원은 삭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부칙에서 진주의료원을 해산하고 잔여 재산은 경남도에 귀속하도록 하고 있다.
진주의료원지키기 공공의료강화 범국민대책위원회는 23일 경남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주의료원 정상화를 촉구했다. 또 노·사·민·관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를 구성, 진주의료원 발전과 운영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일째 도청 앞에서 밤샘농성을 벌였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진주의료원지부 조합원 30여명도 전국에서 ‘생명버스’를 타고 온 120여명과 함께 도의회 앞에서 진주의료원 수호를 다짐했다.
앞서 민주당과 통합진보당 등 정치권에서도 이날 오전 각각 경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도에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 철회를 요구했다.
폐업절차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 4월 23일 노조대표의 철탑농성 해제를 조건으로 5월 22일까지 폐업을 유보한 뒤 모두 9차례 대화를 시도했으나 입장차만 확인했다. 6월 중순 임시회에서 해산조례가 통과될 경우 안전행정부의 검토를 거쳐 도지사가 조례를 공포하면 폐업절차는 진행된다.
진주의료원 사태는 앞으로 정치권의 야권 세력이 개입하는 여야 진영싸움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크다. 지루한 힘겨루기가 예상되면서 도민들은 진주의료원 사태가 부산의 한진중공업 사태와 유사한 양상으로 진행돼 막대한 사회적 비용만 낭비하고 상처만 남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국민일보 쿠키뉴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