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사적지, 관광자원 활용하자”

입력 2013-05-22 20:02

5·18민주화운동 33주년을 맞아 희생자들이 안장된 국립5·18민주묘지와 사적지 등의 관광자원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5·18이 1997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2002년 5·18묘지가 국립묘지로 승격된 이후 그날의 흔적을 둘러보기 위해 5월을 전후해 광주를 찾는 외지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해마다 정부 주관 기념식이 치러지는 5·18묘지는 광주뿐 아니라 다른 시·도의 초·중·고교생들이 수학여행 등을 통해 민주주의를 배우고 익히는 현장학습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의 경우 방문객이 2009년 55만1000여명에서 2010년 69만6000여명, 2011년 73만7000여명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55만9000여명이 찾는 등 그동안 누적 방문객 수는 1000만명을 훨씬 넘어섰다.

그러나 5·18관광은 5·18기념재단이 인권·의향·민중·남도·예술 등 5대길 18개 코스로 구성한 ‘오월길’ 답사가 유일하다. 5·18 사적지 26곳과 광주 곳곳의 역사·문화자원을 한 데 연결한 길이다. 오월길에는 지난해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1만5000여명이 다녀갔다. 올해도 방문객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시는 상무지구 5·18자유공원 등이 포함된 시티투어 버스를 간헐적으로 운영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민주주의의 시발점이 된 5·18민주화운동의 생생한 역사와 정체성을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1980년대 불순분자들이 주동한 ‘광주사태’로 불리던 5·18은 국회 청문회 등 우여곡절 끝에 한국 민주화를 앞당긴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됐다. 또 희생자를 기리던 ‘추모제’는 5·18 정신을 이어받기 위한 ‘기념식’과 ‘축제’로 성격이 바뀌었다. 그러니만큼 도보·자전거 코스개발 등 5·18의 관광자원화로 새로운 관광수요 창출은 물론 역사 현장 체험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광주시의회 문상필 의원은 “민주·인권·평화 도시를 지향하는 광주는 도시 전체가 5·18테마파크나 다름없다”며 “5·18의 자랑스런 역사를 일자리와 먹을거리, 볼거리로 구체화시켜 관광객과 방문객들을 불러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