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곳 돌보는 G2 정상] 불법체류자들 만난 오바마
입력 2013-05-22 19:15 수정 2013-05-22 19:17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추방 유예 조치를 받은 청소년과 불법 이민자의 가족 구성원 등 8명과 면담했다. 1100만명의 불법 이민자에게 미국 시민권을 얻을 기회를 주는 것이 핵심 내용인 이민개혁 정책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참석자 중에는 멕시코, 쿠바, 이라크, 모로코 출신 등과 함께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 각각 거주하면서 추방 유예 조치를 받은 한국계 학생 2명도 있었다.
백악관은 불법 체류 중인 참석자나 가족을 ‘불법 이민자’가 아니라 ‘꿈을 가진 사람(dreamer)’이나 ‘서류를 갖추지 못한 이민자(undocumented immigrant)’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한편 민주, 공화 양당이 협의해 온 이민개혁 법안이 이날 찬성 13표, 반대 5표로 상원 법사위원회를 통과했다. 법안은 다음 달 초 상원 전체회의에 넘겨져 다뤄질 예정이다.
양당은 이날 법안의 핵심 쟁점인 전문직(H1B) 비자 발급 요건을 이민개혁법 초안보다 완화하는 선에서 합의했다. 미국 기업이 외국인을 고용하기에 앞서 미국인 구직자의 채용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외국인 직원 비중이 15%를 넘는 회사에 한해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경우 한국인 전문 인력의 미국 현지 취업도 수월해진다. 법안에 한국에 H1B 비자와 유사한 전문직 비자인 ‘E-5’를 별도 발급하는 내용의 항목이 신설됐기 때문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