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룡해 특사’ 소식 나오자마자… 靑 “대통령, 6월말 방중”

입력 2013-05-22 18:49

북한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특사로 방중한 22일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의 6월말 중국 방문 계획을 발표했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오전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한·중 간에 6월 말을 염두에 두고 박 대통령 중국방문을 협의 중”이라며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우리 정부가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은 북한의 대중(對中) 행보가 한·중 관계에 결코 방해가 되지 않으며 박 대통령의 ‘중국 중시 외교’ 기조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던지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방중이 양국 정상 간 사전교감과 공감대 속에 치밀하게 준비돼온 행사인 반면, 최 총정치국장의 방중은 급조된 ‘이벤트’임을 강조하고 있다. 앞서 박 대통령도 지난 15일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만찬 간담회에서 “중국에서 가급적 빨리 방문해 줬으면 좋겠다는 점을 여러 경로로 전해와 저도 가급적 빨리 방문하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최 총정치국장의 특사파견에 대해 정부는 ‘돌발 변수’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외교부는 중국 정부로부터 최 총정치국장의 방문 사실을 외교경로를 통해 미리 전해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은 최 총정치국장과 중국 지도부 사이에 논의될 의제에 대해서도 협의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박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협력 구상(서울프로세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북한발(發) 안보위기와 핵무기 개발 문제를 거론하면서 중국 지도부의 강력한 견제와 한·미·중 중심의 대북정책 공조를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역사바로세우기 특위’ 위원장인 남경필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특위에서 “전통적인 안보 삼각축인 한·미·일 체제를 한·미·중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남 의원은 박 대통령의 방중 계획을 언급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이런 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