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특사파견 왜… 꼬인 北·中관계 풀기 절박한 카드
입력 2013-05-22 18:25
북한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의 22일 중국 방문은 한반도 경색국면에서 사면초가에 몰린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특사정치’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체제를 움직이는 양대 권력자 중 한 명인 최 총정치국장이 특사로 파견됐다는 것은 과거 북한이 중국에 대표단을 보낼 당시와는 또 다른 무게감을 갖는다. 다른 핵심 실세인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이 지난해 8월 중국을 방문했지만 ‘김정은의 특사’ 자격은 아니었다. 당시 방중 목적 역시 나진·선봉, 황금평특구 개발협상 등 사실상 경제협력과 지원 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 방중은 최 총정치국장이 김 제1위원장의 특사에다 군부 2인자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2월 장거리로켓(미사일) 발사, 지난 2월 3차 핵실험 등 북한의 군사적 도발 이후 꼬일 대로 꼬여버린 북·중 관계를 개선시켜야 한다는 절박감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에 동참한 후 각 부처에 철저한 이행을 지시했으며 새로 출범한 중국 지도부에선 ‘북·중 관계 재고(再考)론’까지 나오고 있다. 3월에는 중국은행의 북한 조선무역은행 계좌 폐쇄 및 거래중단 조치로 북한 돈줄도 막았다.
이런 상황에서 김 제1위원장의 전폭적 신뢰를 받는 군부 고위인사가 중국을 방문한 것은 갈등의 요소를 풀겠다는 북한의 직접적인 의사 표시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군 최고위급이 김 제1위원장의 특사로 처음 중국을 방문한다는 상징성 외에 북·중 군사협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외부에 선전하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은 북한의 3차 핵실험 100일을 맞는 날이기도 하다. 북한 주요 매체가 특사 파견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것 역시 절박한 심정을 대변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중국이 김 제1위원장의 특사 파견을 한동안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설이 나돌기도 했다.
특사를 계기로 김 제1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가시화될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김 제1위원장은 집권 1년6개월이 지나도록 중국을 방문하지 못하고 있다. 북한과 중국 모두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했지만 아직 상견례도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김 제1위원장은 특사를 통해 중국 최고지도자의 의중을 파악한 다음 만남을 본격적으로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특사 파견으로 중국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고 중국이 여기에 만족한다면 북·중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