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치구들, 복지인력 자체확보 고육책 잇따라
입력 2013-05-22 00:20
[쿠키 사회] 복지제도가 급증하고 있지만 인력 확충은 더뎌 각 지방자치단체들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시 자치구들도 예외는 아니다. 주민 복지를 일선에서 챙겨야 하는데 이를 수행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자치구들은 허리띠를 졸라매며 조직개편 등을 통해 복지인력을 자체 확보하고 있다.
강동구는 최근 대대적 조직개편을 단행해 총무·기획 등 핵심 지원부서 중심으로 41명을 감축, 이 중 복지인력 27명을 충원했다고 21일 밝혔다. 구 복지부서 4명, 동 주민센터 23명 등이다. 구 관계자는 “당초 7월 정기인사에 반영하려 했지만 복지업무 폭증에 따른 관련 부서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재배치를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구는 또한 동 주민센터 팀을 기존 ‘행정민원팀’과 ‘주민생활지원팀’에서 ‘행정팀’ 및 ‘복지팀’으로 바꿨다. 복지팀 직원이 일반 행정업무, 청소 등에서 벗어나 복지업무에만 전념토록 한 것이다.
강서구도 각 동 주민센터의 주민생활지원팀이 하던 청소, 공공근로, 일자리사업 등을 행정민원팀에 이관했다. 자체적으로 1명 이상의 복지인력 증원 효과를 내게 한 고육책이다. 아울러 행정직원들을 복지업무로 유인하기 위해 2년 이상 복지업무 근무 시 승진 등 인사 상 우대키로 했다.
성동구는 지난 3월 인사에서 구청 5급 임용예정자 3명 등 간부급 공무원 6명을 동 주민센터 복지팀장으로 발령했다. 또 통장들을 동 복지도우미로 삼아 복지 수요자 발굴 등에 활용하고 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폭발적인 복지제도 확대로 재정악화와 인력부족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정부가 뚜렷한 대책을 세워주는 것도 아니어서 복지서비스를 기대하는 주민들과 마주하고 있는 자치구로서는 당장 이를 해소해야 하는 절박함을 안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지난달 16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업무보고 질의응답에서 “근무여건과 업무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사회복지 분야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올해 사회복지요원 2800명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