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갈증 중국인들 “禁書찾아 홍콩으로”
입력 2013-05-19 18:46
중국 북동부에서 사업하는 저우치차이씨는 지난 3월 홍콩에서 고향의 부패 판사문제를 다룬 잡지 400권을 친구들과 돌려보기 위해 중국에 반입하려다 세관에 적발됐다.
세관 당국은 이 잡지 내용을 살펴본 뒤 ‘반동잡지를 반입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저우씨의 신원을 기록한 뒤 다시는 밀수하지 말라는 경고와 함께 잡지를 몰수했다. 하지만 며칠 뒤 저우씨는 같은 내용의 잡지 93권을 중국에 밀반입하는 데 성공했다.
엄격한 출판물 검열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중국에서 출판이 금지된 서적을 홍콩에서 구입해 몰래 반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에만 3490만명의 중국인이 홍콩을 다녀갔다.
신문은 이런 현상을 정보에 목말라하는 중국인에게 검열제도가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일깨워주고 있다면서 세관 당국에서 이뤄지는 몰수도 그때그때 원칙이나 기준 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영양보조제를 파는 황타오씨는 홍콩의 인민공사서점에서 1950∼60년대 중국의 대약진운동을 소개한 책을 구입했다. 그는 “너무나도 많은 것들이 우리를 속였다”며 “중국에서는 읽지 못하는 책을 이곳에서 구입해 진실을 알고 싶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출판이 금지된 서적은 주로 공산당 지도부의 부패문제나 이들의 은밀한 사생활 문제를 다루는 잡지 등이 대부분이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2014: 대몰락’이라는 제목으로 공산당의 비밀문건 등을 인용해 출판된 것으로 2014년 공산당이 몰락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민공사서점의 폴 탕씨는 “어제도 중국상인으로 보이는 사람으로부터 20권의 책을 주문받았다”면서 “90% 이상은 주로 중국 손님들이며 이들이 주로 하는 질문은 책 내용에 관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를 중국에 가져갈 수 있는지 묻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름을 밝히길 꺼리는 한 중국 언론인은 신문에 “예전에는 홍콩을 방문하는 중국 관리가 자신의 동료나 상사에게 술이나 담배 선물을 주로 했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금서를 선물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의 민주화를 요구한 천안문 유혈사태 하루 전인 6월 3일 개교한 ‘천안문 민주대학’이 인민해방군 탱크에 짓밟혀 폐교된 지 25년 만인 내년 부활한다고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7일 보도했다. 사이버대학 형식으로 재개교하는 천안문 민주대학에서는 자유와 법치, 인권 등을 교육한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