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가대교 ‘최소운영수입보전’ 부담 확 줄인다

입력 2013-05-19 18:44

연간 600억원의 재정부담으로 ‘혈세 먹는 하마’란 지탄을 받는 거가대교에 대한 재구조화 작업이 다음 달 말 마무리될 전망이다.

경남도와 부산시는 거가대교 최소운영수입보전(MRG)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진행 중인 금융권과의 ‘관리운영권 재구조화’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19일 밝혔다.

재구조화 핵심은 거가대교에 1조7000억원을 투자한 민간사업자(대우건설 등)에게 MRG로 보전해 주는 대신 경남도과 부산시가 금융기관에게 비용보전(SCS) 방식으로 원금과 이자를 장기 상환하는 것이다. 이는 MRG 방식으로는 재정부담이 너무 커 도와 시가 금융기관을 동원해 운영권을 인수한 뒤 매년 ‘원금+이자+운영비-통행수익’만큼을 새 운영권자인 금융기관에 지불하는 형식이다.

도는 협상이 마무리돼 SCS 방식으로 바뀔 경우 두 주무관청의 부담이 당초 MRG의 3분 1선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또 2050년 말까지 37년 6개월간 운영권을 인수한 금융기관에 원금과 이자를 갚다 보면 후반 7∼8년간은 주무관청이 오히려 통행수입 일부를 환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도 관계자는 “최종 조율이 남았지만 금리 5%대로 낮춘다는 목표로 4.5% 또는 4.6%에 타결지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대되는 예산절감액은 6조3000억원을 웃돌 것”이라고 말했다.

거가대교 공사는 1994년 말부터 총사업비 2조8619억원(경상가격 기준) 중 민간자본 1조9831억원이 투입됐다. 경남도와 부산시는 2011년 통행량 부족에 따른 464억원의 MRG를 민간사업자에게 지급했고, 지난해에도 600억원 가량의 MRG가 발생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