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마이스터고 졸업자 우선 채용…청년일자리 종합계획 발표
입력 2013-05-19 16:31 수정 2013-05-19 16:47
[쿠키 사회] 서울시가 기술9급 특정기술직 신규채용 때 30%를 특성화·마이스터고 졸업자로 뽑기로 했다. 산하기관들도 올해 채용부터 차별 없는 ‘표준이력서’를 도입한다.
시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3년 청년일자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은 청년일자리 정책기반 조성, 취업 및 창업 지원, 직업훈련 및 교육, 노동권리 보호, 문화·복지 확대 분야를 망라했다. 청년들이 안정적 일자리를 통해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장기처방 대책이라는 것이 시측의 설명이다.
시는 우선 다음달 청년들이 정책 수립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청년 일자리 권리선언’을 발표키로 했다. 또 8월에는 ‘청년 일자리 기본조례’를 제정해 청년고용 촉진 및 지원, 교육 시행 등을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
특히 이번 계획에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취업 지원방안도 담겼다. 시는 기술9급 특정기술직 신규채용 인원의 30%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교장 추천을 받아 채용키로 했다.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이 고졸자를 인턴으로 채용하면 현장근로자 취업지원금으로 1인당 2년간 최대 660만원을 지급한다. 지역 사회·문화·인문지리 이야기들을 발굴해 기록하는 ‘신(新)택리지 프로젝트’와 ‘청년혁신가 양성’ 등의 공공일자리를 제공해 민간일자리 취업으로 연결시켜줄 계획이다.
또 편견과 차별로 구직기회마저 박탈당하는 청년들이 없도록 시 산하 17개 투자·출연기관들은 올해부터 출신학교, 가족관계, 사진 등을 뺀 ‘표준이력서’를 도입키로 했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신규채용 때 신체검사 비용도 지원한다. 정원 30명 미만을 제외한 12개 투자·출연기관들은 내년부터 정원의 3% 이상을 청년으로 신규 채용하는 ‘청년의무고용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청년노동 옴부즈만과 함께 아르바이트 최저임금 기준 불이행 등 부당 노동행위 실태를 파악해 조치할 예정이다. 저소득 청년창업가, 취업준비생 등을 위해서는 정릉동 지상 5층 원룸주택 19실(전용면적 15∼16㎡)을 맞춤형 공공주택으로 공급키로 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