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선진국 양적완화 정책에 경고

입력 2013-05-17 17:17 수정 2013-05-17 22:25

국제통화기금(IMF)이 선진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정책이 금융시스템 안정에는 도움이 됐지만 기대 효과보다 비용이 더 클 수 있다고 16일(현지시간) 경고했다.

IMF는 이날 발표한 ‘비전통적 통화전쟁: 최근 경험과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일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 및 영국중앙은행(BOE) 등의 양적완화 정책이 “세계 경제를 회복시키는 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IMF는 “양적완화와 같은 비전통적인 조치가 전 세계 경제에 지장을 주는 전이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면서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출구전략에 나설 경우 예상치 못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중앙은행이 매입한 자산을 매각할 경우 일본은행은 국내총생산(GDP)의 7%, BOE는 6%, Fed는 4% 이상의 손해를 볼 수 있다고 계산했다. 이에 대해 BOE는 “IMF의 계산은 중앙은행들의 채권 매입으로 인한 자본 이득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라고 반박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미 Fed는 그동안 3차례의 양적 완화를 통해 모두 3조32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사들였으며 BOE도 3750억 파운드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장기 국채 보유 규모를 현재의 2배인 190조엔으로 늘리는 공격적 프로그램을 채택해 실행하고 있다.

IMF는 이와 함께 “선진국의 양적완화에 따른 신흥국으로의 자본 유입은 반대로 급격한 자본 유출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신흥 국가들이 쓸 수 있는 정책을 상당히 제한하는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여기에 “양적완화 정책이 재정 및 금융부문의 개혁으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리처드 피셔 댈러스 연방은행장은 16일 휴스턴에서 열린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회동에 참석해 “빠른 시일 내에 양적완화 정책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주택시장이 개선됐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모기지 채권을 계속 사야 하는지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