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오바마 “국세청장 대행 해임”… 3대 악재 긴급진화 나서
입력 2013-05-16 18:57
보수단체 세무사찰 의혹, 벵가지 보고서 조작, AP 통신기록 수집 등 ‘삼대 악재’로 위기에 직면한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긴급 진화에 나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보수 성향 시민단체 표적 세무조사로 물의를 빚은 스티븐 밀러 국세청장 대행의 사표를 공식 수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잭 루 재무장관으로부터 스티븐 밀러 청장에 대한 해임 건의를 받고 이를 수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일은 용납할 수 없는 일로 미국 국민들 모두가 분노할 만하다. 나 또한 분노했다”고 말했다.
또 백악관은 지난해 9월 리비아 수도 벵가지에서 발생한 미국 영사관 테러사건 직후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주고받은 이메일을 이날 전격 공개했다.
백악관이 공개한 영사관 테러 사건 직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무부, 중앙정보국(CIA)의 고위 관계자들 사이에 오간 것이며, 모두 99쪽 분량이라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백악관이 이날 벵가지 사태 관련 이메일을 공개한 것은 벵가지 사태 직후 CIA에서 작성한 보고서가 국무부의 지시에 따라 조작됐다는 공화당과 보수언론 측의 의혹 제기에 대응한 것이다.
AP통신 전화기록 수집과 관련해서는 척 슈머(민주·뉴욕) 상원의원에게 ‘자유로운 정보유통을 위한 법안’을 제출해 줄 것을 요청하며 진화에 나섰다. ‘언론보호법’으로도 불리는 이 법안은 공공의 이익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언론인에게 어떤 경우에도 기밀 정보원의 공개를 강요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은 14일 연방검찰이 테러 관련 기밀의 내부 유출자를 찾는다는 명분으로 AP통신의 전화통화 기록을 대거 압수해 은밀하게 조사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