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실세 원내대표 ‘당·청 소통’ 주목

입력 2013-05-16 18:29 수정 2013-05-16 22:15


원조 친박(親朴·친박근혜) 실세인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이 박근혜정부 집권여당의 새 원내사령탑에 오르면서 여권 내부의 역학구도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 당·청 간 소통구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 가깝고 허태열 비서실장이나 이정현 정무수석 등 청와대 핵심들과 막역해 원활한 협조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최 원내대표는 16일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그동안 당·청 간 보이지 않게 드리워진 장막이 많이 있었다”며 “이를 열어젖히고 당이 중심이 돼 민심의 고속도로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창업 공신으로서 새 정부 출범 이후 정부조직법 처리 진통, 고위 공직자들의 잇따른 낙마, ‘윤창중 사태’로 인한 여론 악화를 지켜보며 더 이상 여권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판단해 자신이 구심점이 돼 중심을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대선공약 이행을 위한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준비 중이다. 곧 전국상임위원회를 소집해 정책위원회 체제를 정책조정위원회로 개편해 초·재선 의원들을 대거 참여시킨다는 방침이다.

전날 원내대표 경선에서 최 원내대표는 친박 내부 분열과 초선 78명의 표 분산, 비주류의 견제가 겹치면서 이주영 의원을 8표차로 간신히 이겼다. 청와대가 ‘오더’를 내린다고 더 이상 통할 상황이 아닌 만큼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는 얘기다. 최 원내대표가 4·24 재보선으로 복귀한 5선의 김무성 의원과 어떤 관계를 설정하느냐도 당내 역학구도의 중요한 변수다.

‘최경환호’는 경제민주화 법안 처리, ‘윤창중 사태’ 수습 과정에서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그는 경제민주화 입법에 대해 속도조절론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당내에는 대선에서 공약한 취지대로 신속하게 법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에서 “대선 공약은 당연히 실천해야 한다”면서도 “법을 만들 때는 법적 안정성이나 부작용이 없는지 충분히 여야 간에 조정하고 정부 의견도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이 요구하는 ‘윤창중 청문회’에 대해서는 “지금 청문회를 말하는 것은 앞서가는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서병수 사무총장은 기자단오찬에서 윤창중 성추행 의혹 사건으로 사의를 표명한 이남기 청와대 홍보수석에 대해 “희생양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허태열 비서실장에 대한 책임론을 희석시키려는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엄기영 유동근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