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체 사회공헌도 조사… 부산시와 시민단체 ‘극과 극’

입력 2013-05-16 15:20

[쿠키 사회] 부산시와 지역 시민단체가 발표한 대형유통업계의 사회공헌도 조사 결과가 극명한 차이를 보여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부산시는 16일 시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통해 지역 백화점과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등 대형유통업체의 지역사회 공헌도가 크게 향상됐다고 발표했다.

협의회는 부산지역 4개 백화점과 7개 대형마트, SSM 2개 등 13개 대형유통기업의 2012년 1년간의 실적을 조사했다. 조사는 인력 고용, 지역업체 입점, 지역업체 납품, 지역상품 상설매장 설치, 지역상품 기획전 개최, 공익사업 참여 등 9개 항목에 걸쳐 이뤄졌다.

조사결과 대형마트의 지역업체 납품은 전년 대비 8.3% 증가했고, 백화점의 지역업체 매출액도 미미하지만 0.5% 늘었다. 지역상품 상설매장 면적은 36.2% 증가했다. 인력고용은 전년과 비교해 432명 늘었으며, 지방세 납세실적은 49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부산경실련(공동대표 김대래)은 “시의 조사결과는 엉터리”라고 반박했다. 오히려 이들 업체의 사회 공헌도가 크게 낮아졌다는 것이다.

경실련에 따르면 부산지역 4개 백화점의 3470개 입점업체 중 지역납품업체는 303개로 전체의 8.7%에 불과하다. 이는 2011년 지역업체 입점비율 25.5%에서 16.8%나 감소한 것이고, 1년 만에 912개 업체에서 303개 업체로 609개 업체가 줄었다. 또 부산지역 7개 대형마트에 입주한 지역업체 수도 1696개에서 1569개 업체로 127개가 줄었다.

특히 대형유통업체들의 지난해 매출액은 4조원에 육박하지만, 본사가 수도권에 있어 지방세 납세 실적은 324억원으로 매출액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형유통업체들이 지역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둔 곳은 한 곳도 없다.

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대형유통업체들의 지역사회 공헌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법인화와 지역은행의 주거래은행 개설 등이 시급하다”며 “유통업체들의 일부 성과만을 발표하는 시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는 해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국민일보 쿠키뉴스 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