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미대사관 한국문화원 ‘성추행’ 묵살 의혹 규명
입력 2013-05-15 18:31
박근혜 대통령의 이번 방미 일정 전면 재조사 지시에 따라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성추행 의혹 부분에 대해서도 추가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성추문 사태와 관련한 추가 조사 시 최우선 대상은 주미 대사관 산하 한국문화원의 성추행 피해 신고 묵살 의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직도 일부 명확하지 않은 윤 전 대변인의 8일(현지시간) 자정∼오전 5시 행적, 호텔방에서의 구체적 2차 성추행 행태 등도 추가 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의혹이나 공백을 밝히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당사자는 피해 여성 인턴 A씨, 미국 경찰에 직접 신고한 문화원 여직원 B씨 등이다. 하지만 이들이 모두 미국 시민권자인 데다 미국 법 문화가 조사 중인 사건과 관련, 이해관계가 있는 측의 피해자 접근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 감찰팀이 오더라도 A씨와 B씨는 조사 자체가 불가능하다.
주미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14일(현지시간) “미국은 피해자 보호를 매우 중시하는 법 문화를 가지고 있어 피해자 신상정보 노출과 당사자에 대한 영향력 행사 시도가 처벌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주미 대사관도 A·B씨 등이 성추행을 현지 경찰에 신고한 이후에는 접촉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조사 대상은 주미 대사관·한국문화원 관계자나 다른 인턴 등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경우 A씨가 1차 성추행 피해 직후 이를 문화원 직원에게 신고했는데도 이를 무시해 2차 성추행으로 이어졌다는 의혹 등에 대해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질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근본적으로 대사관 소속 공무원들의 의견에 편향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국문화원 관계자가 8일 아침 2차 성추행 피해 후 방에서 울고 있는 A씨와의 대화 등을 토대로 청와대 민정수석실 등에 보고한 내용에 A씨가 1차 성추행 후 호텔로 돌아와 이를 문화원 직원에게 하소연했다는 부분이 포함됐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워싱턴DC 경찰 당국은 수사 방향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현재로선 ‘경범죄(misdemeanor)’ 혐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확인했다. 특히 ‘중범죄(felony)’ 수준으로 수사될 것이라는 일부 관측과 주장에 대해서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