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플러스’ 확정 공고… 대학들 사활건 유치 경쟁
입력 2013-05-15 18:26
매년 2500억∼3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7년 동안 대학 연구 기능에 지원하는 ‘두뇌한국(BK)21 플러스 사업’ 계획이 확정됐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국책 연구지원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대학들의 유치 경쟁이 불붙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올해 2526억원을 대학 연구인력 1만5000여명에게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BK21 플러스 사업계획’을 15일 확정·공고했다. 이 사업은 기존 ‘BK21사업’ 2단계와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사업’이 통합된 연구지원 사업이다. 예산 규모와 지원 대상이 많아 대학가의 큰 관심사였다.
지원 대상은 대학의 석·박사 과정에 있는 대학원생들과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신진연구자다. 오는 8월 말까지 글로벌 인재양성사업(20개), 특화 전문인재양성사업(8개),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사업( 427개) 등 500개 내외의 사업단(팀)이 선정된다. 사업단별로 최대 80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2015년에는 중간 실적을 평가하게 되며 평가 결과를 토대로 2016년 지원 사업단이 재선정된다.
글로벌 인재양성사업은 WCU사업을,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사업은 BK21사업을 계승하는 사업이다. 새로 추가된 특화 전문인재양성사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문화 콘텐츠, 산업·공업·패션디자인, 관광, 정보보안 등 최근 떠오르는 고부가가치 특화 분야와 국가전략 분야의 전문 인력을 지원한다. 특히 창조경제의 핵심인 학문 간, 산업과 기술 간 융합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게 될 융복합 분야에 연간 560억여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BK21 플러스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 인력의 인건비도 오른다. 석사과정 연구자는 월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박사과정 연구자는 9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신진연구자는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지방대학 육성 차원에서 사업비 기준 지방대 지원 비중을 35%로 높이기로 했다. 기존 BK21·WCU사업에서 지방대 지원 비중은 24%였다.
한 수도권 소재 대학의 대학원 관계자는 “수도권, 비수도권 가리지 않고 BK21 플러스 사업을 유치하기 위한 총력전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특히 대학원생 유치가 어려운 지방대학이나 중위권 대학들은 정부의 평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