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윤창중 사건 문책범위 넓히자” 親朴, 큰소리 내는 속내는…
입력 2013-05-15 18:21 수정 2013-05-15 22:19
‘윤창중 성추행 의혹 사건’으로부터 박근혜 대통령을 엄호해야 할 친박(親朴·친박근혜) 진영이 “문책의 범위를 넓히자”며 거꾸로 청와대를 겨냥하고 있다. 친박의 은밀한(?) 속내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의 공식 입장은 ‘문책보다 진상 파악이 먼저’다. 황우여 대표는 14일 박 대통령과의 오찬 회동 후 “조사·감찰 이후에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친박 성향 의원들은 책임을 더 강하게 물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만일 다른 분들이 개입돼 있다고 한다면 그분들도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내에선 지도부가 향후 청와대에 이남기 홍보수석 윗선의 책임을 요구할 것이란 소문이 파다하다. 이 수석이 허태열 비서실장 등 다른 관계자와 논의 없이 독자적으로 행동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추측이 전제돼 있다.
심지어 친박 진영에선 금기시됐던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에 대한 노골적 반감까지 나온다. 윤 전 대변인과 이 수석 그리고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까지 물의를 일으킨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추천 과정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권력 실세와 친박 원로그룹 중심의 추천 방식이 바뀌지 않으면 또 다른 참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 같은 배경엔 현 정권 ‘개국공신’이면서도 인사 과정에서 소외된 친박 인사들의 불만이 자리잡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청와대에 대한 불만이 누적돼 있다”며 “‘자리’ 문제를 얘기하려 해도 대(對)청와대 통로 자체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이라고 털어놨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