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4대강 입찰담합 대대적 수사… 대형 건설사 등 25개社 압수수색

입력 2013-05-15 18:07 수정 2013-05-15 22:25

이명박(MB) 정부 핵심 국책사업인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입찰담합 의혹에 대해 검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국가정보원 정치 개입 수사에 이은 ‘MB정부 흔적 지우기’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여환섭)는 15일 중·대형 건설사 16곳과 설계용역회사 8곳, 관계사 등 25개 업체를 압수수색했다. 현대·대우·대림·삼성물산·GS·포스코·SK건설 등 4대강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사 대부분이 포함됐다. 검찰은 특수1·2부 검사와 수사관, 대검찰청 과학수사 요원까지 200여명의 대규모 인력을 투입했다. 이들은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전남 나주, 경북 포항 등의 사무실 30여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수색해 4대강 사업 입찰 서류와 회계 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 관계자는 “1·2차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시민단체가 고발한 업체들의 담합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수사”라며 “준비를 상당히 해왔고 검토가 끝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09년 6월 발주된 4대강 1차 사업 입찰 과정에서 공구 배분 담합 행위를 적발, 지난해 6월 이에 관여한 19개 건설사 중 8개사에 과징금 1115억원을 부과했지만 검찰 고발은 하지 않았다. 이에 4대강 복원 범국민대책위원회 등은 공정위와 건설사 전·현직 대표 16명을 고발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09년 10월의 2차 사업 발주 때도 담합이 있었던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 2월 17개 건설사를 수사의뢰했다. 이 사건들은 당초 서울중앙지검 형사7부가 맡았지만 최근 특수1부로 재배당됐다.

4대강 사업은 물을 가두는 시설인 보를 건설하는 1차 공사와 하천 환경을 정비하는 2차 공사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5년간 약 22조원의 막대한 예산이 들어갔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