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동차 100만대 생산시대’ 갈길이 멀다

입력 2013-05-15 17:58

광주시가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 조성에 매달리며 각종 정책을 내놓고 있으나 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은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15일 “박근혜 대통령이 지역 공약으로 채택한 ‘광주 자동차 100만대 생산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밝혔다. 목표가 실현될 경우 광주지역의 자동차산업 매출은 16조원, 향후 일자리는 최소한 1만3000개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는 우선 올해부터 2015년까지 평동 군 훈련장 부지에 300만㎡의 자동차 전용 국가산업단지를 육성하기로 했다. 21세기 들어 각광받는 하이브리드카와 클린디젤차, 전기차, 수소전지차 등 친환경 자동차 생산과 각종 부품공장의 원활한 가동을 위한 전용단지를 만든다는 것이다. 또 내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민자 등 1조3377억원을 들여 공동물류센터와 환경오염정화시설, 공동연구센터 등 다양한 기반시설을 갖추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열병합발전소 등 집단에너지 공급시설과 충돌·주행 시험장 등 자동차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시험장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현재 연간 62만대 자동차 생산도시로 울산 150만대에 이어 전국 두 번째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하지만 광주시의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는 아직 ‘희망사항’에 머물고 있다.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 제조업체가 매력을 느낄만한 투자환경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자동차 전용 국가산단의 경우 시는 ‘10년에서 20년 장기 분할상환’ 방식의 부지공급을 정부에 건의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미지근한 반응을 보여 첫 걸음도 떼지 못하고 있다. 민간기업의 공장이전 혹은 신규투자를 강요할 수 없고, 미래 자동차들이 어떤 에너지를 주로 사용할지 불분명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원론적 이유 때문이다.

따라서 ‘대통령 공약’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업 투자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을 모아야 한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손경종 시 전략산업과장은 “기아차가 2007년 미국 현지공장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단돈 1달러에 미국 조지아주 정부로부터 300만㎡ 부지를 제공받았다”며 “앞으로 광주로 옮겨올 자동차 관련업체의 파격적 세금감면 혜택 등 지원을 늘리기 위한 묘수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