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8부두 개방 당분간 어려울 듯
입력 2013-05-14 22:35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8부두를 개방을 하더라도 선결조건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바다도시이면서도 바다를 빼앗긴 인천시민들은 개방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14일 인천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8부두를 개방해 시민광장으로 조성해 달라는 관할 중구와 주민들의 여론과는 달리 지난 10일 내항 8부두 임대기간이 만료된 2개 부두운영사(TOC)와 계약기간 5년의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
공사는 사업시행자가 선정될 경우 6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한다는 단서조항을 달아 협약을 체결했다. 공사는 인천항1·8부두 27만5322㎡(부지가액 1448억원) 재개발을 위해서는 항만법상 항만근로자 107명에게 243억원을 보상해야 하고, 인천항 재배치에 대한 계획이 확정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정해진 것이 없어 당분간 어렵다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일부 시민들이 주장하는 인천항 개방약속은 협약사항이 아니다”면서 “정부는 2016년까지 재개발 사업자를 선정해 2020년까지 인천항 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8부두시민광장조성추진위원회와 내항살리기시민모임(대표 김상은)은 “지난 10일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인천시에서 열린 내항재개발추진협의회에서 해수부가 밝힌 대로 이달 말까지 로드맵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강력한 투쟁으로 맞서겠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2007년 당시 고철부두로 인한 환경피해와 호흡기 질환 등을 이유로 주민 7만5000명이 국회에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후 국회가 이를 받아들임에 따라 2008년 해양수산부 장관이 내항재개발을 약속한 만큼 우선 개방이 필요하다고 주민들은 요구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