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례적으로 전체 분과 문화재위원 대상 ‘반구대 암각화 현장 설명회’

입력 2013-05-14 19:56

문화재청이 최근 새로 구성된 문화재위원회 위원들을 대상으로 21일 울산 반구대 암각화(국보 285호) 현장에서 훼손 심각성을 보여주는 설명회를 갖는다.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 보존·관리·활용에 관한 사항을 조사·심의하는 자문기관이다. 지난 2일 임기 2년의 위원 79명이 새로 위촉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14일 “전체 9개 분과 위원들을 대상으로 참석 가능 여부를 파악한 결과 김정배 위원장 등 24명 참석이 확정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통상 위원들이 바뀌면 현안 브리핑을 하는데, 반구대 암각화 문제는 이슈가 이슈인 만큼 모두에게 보여주자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건축문화재, 매장문화재 등 분과별로 현장을 찾는 경우는 더러 있었으나 이처럼 전체 문화재위원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하기는 처음이다. 다른 관계자는 “어차피 마련된 자리니까, 반구대 암각화를 다루는 청와대 교육문화비서실 담당자도 함께 초청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의 갑작스런 현장 설명회는 새누리당이 암각화 주변 ‘임시제방’ 설치로 의견을 모으고 지난 2일 반구대 암각회 현장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가진 데 대한 초조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새누리당은 “추가 훼손이 가해지지 않도록 임시조치를 서둘러야 한다”며 사실상 울산시의 생태제방 안에 손을 들어줬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과 관련해서는 수문을 설치해 댐 수위를 낮추자는 중앙정부 안과 암각화 표면에 물이 닿지 않게 생태제방을 쌓자는 울산시 안이 팽팽히 맞선 채 10년째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문화재위원회 심의대상에는 국가 문화재 현상 변경 사항도 포함되기 때문에 어떤 암각화 보존 대책이 나와도 최종적으로는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의 마지막 운명을 쥔 문화재위원들을 대상으로 문화재청이 우군 만들기 행보를 보이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