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대표 기강확립 요청에… 靑, 전 수행원단 감찰 확대

입력 2013-05-14 18:28 수정 2013-05-14 22:31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국무회의와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의 월례 회동 등 공식 일정에서 연이어 공직기강 확립을 강조했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을 염두에 둔 행보다.

박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단호한 어조로 “각 부처에서 공직자가 국민 신뢰에 어긋나지 않도록 공직기강을 더욱 확립해 달라”며 “이번에 공직자의 처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다들 절감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황 대표와의 오찬 회동에서도 여당의 우려와 요청 사항을 전달받고 공무원 사회 전반에 대한 기강 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황 대표가 청와대 비서실의 기강 확립 문제를 언급하자 박 대통령은 “비서실이 감찰해야 할 정도가 되면 되겠느냐”고 되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감찰이 필요없을 정도로 청와대 각 수석실의 기강을 세우겠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윤 전 대변인이 포함된 홍보수석실을 대상으로 시작한 감찰을 전 수행원단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방미기간 목표했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나 대언론 관계가 본래 취지나 목적에 맞게 진행됐는지를 살펴보고 있다”며 “현지에서 챙겨야 할 인사들을 일부 챙기지 못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국가지도자연석회의는 대선기간 약속을 한 만큼 이제는 확정지어야 되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회동 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책의 범위와 인사 시스템 전반에 대한 당 최고위원회의 결과를 전했느냐’는 질문에 “그 부분은 (대통령께)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황 대표는 오찬 직전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해 의견을 수렴했다. 한 최고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몇몇 최고위원이 홍보라인 교체와 인사 시스템 개편 문제를 언급했다”며 “청와대 인사위원회가 과반의 위원이 반대하는 인사에 대해선 임명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제안이 나왔다”고 전했다.

당의 제안은 이번 사건으로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가 급락했다는 위기의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당 여의도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50% 중후반대 지지도를 기록했다”며 “방미 성과에 대해서도 부정적 여론이 20% 이상이었는데 윤 전 대변인 사건이 원인으로 꼽혔다”고 설명했다. 이 지지도는 방미 중간 최고치를 기록했던 60% 중반대에 비해 10% 포인트 가까이 하락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흐트러진 국정운영 고삐를 다시 죄려는 듯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정부 3.0시대’ 등 새 정부의 과제를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중산층이 많아지려면 일자리를 만드는 게 관건인데 그러기 위해선 기업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정부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벤처기업 인수·합병이 활성화되도록 규제를 확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창호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