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광양항’ 홀대에 주민 반발 커
입력 2013-05-13 20:40
4년 만에 부활된 해양수산부의 항만개발정책에 광양항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전략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주민의 반발이 거세다. 주민들은 부산항과 광양항 발전을 꾀하던 ‘투 포트(Two-Port)’ 항만 정책을 정부가 사실상 포기했다고 보고 있다.
13일 광양시에 따르면 광양항 개발정책과 활성화 대책을 촉구하는 광양지역 기초·지방의회와 시민단체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지난 11일 윤진숙 해양수산부장관의 광양항 첫 방문 결과는 지역주민들의 실망감을 더욱 깊게 하고 있다.
윤 장관은 방문 당시 여수광양항만공사로부터 광양항 현황보고를 받은 뒤 “광양항은 인프라가 잘 돼 있어 활성화시키려 생각하고 있고, 그런 쪽으로 정책을 잡아가고 있으니 너무 걱정 안 해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은 윤 장관이 실질적인 광양항 활성화 지원대책을 언급하지 않고 원론적 입장만 표명해 “얼굴 알리기에 그쳤다”고 비난하고 있다.
광양시는 윤 장관에게 광양∼일본 카페리 재취항, 광양항 국제여객선터미널 신축, 광양항 배후단지 지식산업센터 건립, 동북아 원자재 비즈니스 쇼룸 구축 등 현안사업 지원을 건의했다.
광양항 물동량은 200만 TEU를 넘어선 지 2년이 채 안된 상태다. 항만의 자립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연간 물동량이 300만 TEU 이상 돼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항만의 항차수가 많아지고 물동량이 늘 경우 선박증가와 물량창출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양항이 300만 TEU 이상의 물동량을 달성하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항만지원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광양=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