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자체, 서울 등에 ‘장학숙’ 건립 붐

입력 2013-05-13 20:40

전북지역 지자체들이 서울과 수도권 유학 학생들을 위한 숙소인 장학숙(奬學塾)을 앞 다퉈 세우고 있다. 하지만 소수만을 위한 혜택과 단체장의 과시적 사업 추진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13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도와 전주시·고창군 등 3곳이 서울에 장학숙을 운영 중이다. 남원시는 한창 건축공사를 하고 있고, 정읍시는 부지매입을 마친 상태다. 익산시와 김제시도 건립을 추진 중이다.

첫 장학숙은 전북도가 1992년 서울 방배동에 세운 서울장학숙이다. 수용 규모 372명으로 전북인재육성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도는 관련 조례에 지역사회와 국가사회 역할에 주축이 될 향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운영한다고 명시하고 숙식과 학업에 필요한 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주시는 2010년 구기동에 9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풍남학사를, 고창군은 지난해 남현동에 60명이 들어가는 서울장학숙을 세웠다. 남원시는 65억2000만원을 들여 최근 보문동에 68명 규모의 서울장학숙 착공에 들어가 올해 말 준공한다.

이들 장학숙은 이용료가 싼데다, 편의시설과 인맥 형성 프로그램까지 마련돼 있어 인기가 높다. 지자체들은 이 시설이 단순 ‘하숙집’이 아닌 학습과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인재 양성의 산실로 이끌어갈 계획이다.

반발이 없지 않다. 건립비용은 물론 해마다 운영비 부담이 큰 데다 단체장이 성과 과시용으로 일방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 유학생들의 숙소 마련 비용을 줄이려 한다면 대학생 전세자금 지원이 더 현실적이고 공평하다는 것이다.

정읍시는 경기 안양시에 부지를 마련하고 120명 규모의 장학숙을 내년 건립할 예정이다. 하지만 교육·농업단체와 일부 시의원이 반대해 공사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정읍시농민회 등은 “시가 80억원이나 들여 수도권 진학자만 혜택을 받는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푼 두푼 기금을 모아온 장학금을 어떤 의견수렴 절차도 없이 졸속 추진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반대서명운동에 들어갔다.

한편 전북도와 진안군은 각 시·군에서 전주로 유학 온 학생들을 위해 전주에 장학숙을 운영 중이고, 고창군도 8월 완공 예정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