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 절반 마취전문의 없어

입력 2013-05-12 19:04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없으면서 수술실을 운영하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10곳 중 4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칫 의료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2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공개한 ‘마취관리 정책의 국제비교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수술실이 있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1139곳 중 36.7%(418곳)에 마취 전문의가 없었다.

규모가 작을수록 마취 전문의 부재는 더 심했다. 수술실을 갖춘 병원급 의료기관 803곳 중 절반 가까이(49.3%)가 마취 전문의를 두지 않았다. 치과병원은 21곳 중 4곳, 한방병원은 2곳 모두 상주하는 마취 전문의 없이 수술실을 운영 중이었다.

보고서는 마취 진료의 질 관리도 매우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의료기관 인증평가 시 마취 진정관리 항목이 있음에도 중소병원은 예외라고 지적했다. 현행 제도로는 상급종합병원과 전문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만 해당하며 나머지는 자율신청에 의해 이뤄진다. 중소병원은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다. 보고서는 “정맥 마취 후 발생하는 의료사고는 대부분 마취 전문의가 아닌 시술자에 의해 발생한 사고였다”고 분석했다.

대한마취과학회 등은 이런 마취 의료실태를 개선하려면 건강보험 진료비를 청구할 때 마취를 시행한 의사의 이름과 면허번호 등을 기재하는 ‘마취실명제’를 시행할 것을 제안했다. 또 마취과 의사에게만 마취료를 주거나 다른 의사는 진료비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