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 “방미해 조사 받아야” 최경환 “홍보수석도 책임 못면해”

입력 2013-05-12 17:59 수정 2013-05-12 22:39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이 오는 15일로 예정된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의 변수로 떠올랐다. 이번 사건이 근본적으로 청와대 부실인사 및 불통 논란과 연계돼 있기 때문에 결국 당·청 관계를 재정립할 적임자가 누구냐는 문제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특히 야당이 청문회와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어 ‘윤창중 사건’ 뒤처리도 차기 원내대표의 몫이 될 전망이다.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이주영·최경환 의원은 12일 각각 오찬 간담회를 열고 윤 전 대변인의 처신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의원은 “그런 일이 발생했으면 미국에 남아 있었어야 했다. (윤 전 대변인이) 직접 방미해서 조사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도 “떳떳하면 미국 가서 조사 받아야 한다”며 “(윤 대변인과) 저 정도로 진실공방을 하고 있다면 이남기 홍보수석도 책임을 면할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어느 쪽에 유리할지에 대해서는 “언급하기 적절치 않다”(이 의원), “도움이 될 것도 안 될 것도 없다”(최 의원)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당내에서는 박 대통령 및 청와대 핵심부와 가까운 최 의원에게 더 악재라는 관측이 나온다. 불미스러운 일의 재발을 막으려면 청와대를 견제하고 쓴소리도 할 수 있는 원내 지도부가 필요하다는 논리가 힘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의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로 나온 장윤석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인 대변인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냐. (이번 건은) 우리에게 좀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최 의원의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인 김기현 의원은 “쓴소리를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사태를 통해 청와대와 잘 소통할 수 있는 원내 지도부의 필요성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친박(親朴·친박근혜) 진영 내에서는 박 대통령과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책임을 물어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최 의원과 이 의원 모두 “허 실장은 국내에 있었다”며 사실상 면죄부를 줬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청와대에 이 수석에 대한 문책을 요구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관계가 아직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이 수석이 윤 전 대변인의 직속상관인데다 진실 공방의 당사자인 점이 문책 이유로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3일 당 최고위원회 등 지도부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엄기영 김현길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