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 규명이 관건…美에 조속 수사 요청”
입력 2013-05-12 17:48 수정 2013-05-12 22:24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은 12일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추후 필요한 조치가 있다면 숨기지도 감싸지도 지체하지도 않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김행 대변인은 “중요한 것은 빨리 수사가 진행되어 진실이 밝혀지는 것이다. 우리는 수사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며 미국에 조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지난 10일 이남기 홍보수석 사과 이후 오히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허 실장은 “이 문제에 있어서는 저를 포함해 그 누구도 책임질 일이 있다면 결코 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가 사태를 방관하거나 문책을 피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셈이다. 허 실장은 당초 준비된 사과문에는 없었던 이 수석의 사의표명 사실도 공개했다. 다만 이 수석의 사퇴 여부는 “인사권자(대통령)가 결정할 일”이라고 했고, 향후 책임질 일에 대해선 “상황을 예단해서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허 실장의 대국민 사과는 이번이 두 번째다. 정부 출범 초기 고위 공직 후보·내정자들의 낙마 사태가 이어지자 지난 3월 김 대변인을 통해 사과문을 발표한 바 있다. ‘17초 대독사과’로 비판을 받았던 당시와는 형식과 내용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본인이 직접 나서서 4분25초간 사과를 했고 ‘송구’ ‘죄송’ ‘사죄’ 등 사과의 표현을 6차례 사용했다. 회견을 시작할 때와 사과문 발표 직후, 연단에서 내려온 직후까지 3차례 고개를 숙였다.
한편 곽상도 민정수석도 허 실장의 회견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미국 측에서 범죄인 인도 요청이 오면 체포동의 등 적극 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곽 수석은 청와대가 귀국을 종용했다는 윤 전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 “양쪽 주장을 놓고 아무리 얘기해도 법적인 의미가 없는 걸 저희들이 굳이 확인할 필요는 없다. 귀국 문제는 우리나라 법이나 미국법에 의하면 아무런 문제가 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옆에 물의를 빚은 사람이 남아 있는 게 적절한지는 누구나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된 ‘도피 귀국’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이번 사건을 추후 또 조사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엔 “현재로서는 특별히 없다”고 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